• Virtual DOM이란?

    React를 배우자 - Virtual DOM이란? Virtual DOM(a.k.a. VDOM)은 UI의 이상적인 또는 “가상”적인 표현을 메모리에 저장하고, ReactDOM과 같은 라이브러리에 의해 “실제 “DOM과 동기화하는 프로그래밍 개념이다. 이걸 “재조정(Reconciliation)”이라고 한다. 재조정(Reconciliation) React는 선언적 API를 제공하기 때문에 갱신이 될 때마다 매번 무엇이 바뀌었는지를 걱정할 필요가 없다. 이런 접근 방식이 React의 선언적 API를 가능하게 한다....


  • JSX 란?

    React를 배우자 - JSX 란? 예) const element = <h1>Hello, world!</h1>; JSX는 JavaScript를 확장한 문법으로, JavaScript의 모든 기능을 포함한다. JSX는 React element를 생성한다. React에서는 렌더링 로직이 UI로직(이벤트 처리, state 변화, 데이터 준비 등)과 연결된다. JSX 사용이 필수는 아니지만, JS 코드 안에서 UI관련 작업을 할 때 시각적으로 더 도움이 된다. JSX의...


  • MSA (1)

    MSA(Micro Services Architecture) (1) - MSA의 장점 외 MSA 개념정도. 정확히 말하자면 사전적 정의 정도로만 이해하고 있었다. 대충… 프로그램을 잘게 쪼개서 만드는건가? 그러면 뭐가 좋지? 근데 어떤식으로 하는 거지? 실제 업무는 어떤식으로 달라질까? 등에 대해 물음표만 던지고 딱히 답은 찾지 않고 있었… 그러던중 팀장님이 큰 곳에 가려면 MSA (docker 쿠버네티스...


  • 링크드 리스트(LinkedList)

    자료구조 리스트 링크드 리스트(Linked List) 배열처럼 데이터 집합을 보관하는 기능을 가지면서도 배열과는 달리 유연하게 크기를 바꿀 수 있는 자료구조 = 리스트. 링크드 리스트는 리스트를 구현하는 여러가지 기법 중 가장 간단한 방법이다. 특징은, 값의 추가/삽입/삭제는 빠르나 특정 위치에 있는 값을 찾는 연산은 느리다. 따라서 적합한 곳은 레코드의 추가/삽입/삭제가 잦고, 조회는 드문...


  • 구간 최대합 구하기

    구간 최대합 구하기 문제. (특정 회사의 코딩테스트 문제 중 하나였는데 문제 유출은 처벌 받을 수 있다고하여 정확한 문제를 복사하지도 않았고, 그래서 적을 수도 없다. 대강 적음…) 양수의 int 숫자로 이루어진 배열이 주어지고, 배열의 요소를 순서대로 k 개씩 짝을 지어 합을 구한다. 이때 합의 최대값을 return 해라. 나의 풀이. import java.lang.Ma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