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처리기사 실기 3회 기출 리뷰 (feat.두목넷 익스터디)
by BBarkji
정보처리기사 실기 3회 기출 리뷰
형상 통제 (변경관리, 형상제어)
형상 통제는 형상에 대한 변경 요청이 있는 경우 변경 여부와 변경 활동을 통제하는 것을 말한다. or 형상 통제는 소프트웨어 형상 변경 요청을 검토 승인하여 현재의 베이스라인에 반영될 수 있도록 통제하는 것을 의미한다.
EAI유형
EAI ? Enterprise Application Integration : 애플리케이션들 간의 정보전달, 연계 통합을 가능하게 해주는 솔루션
- Point to point : 직접 연결 or Peer to Peer
- Hub & Spoke : 중앙 집중적 방식
- Message Bus : 이들웨어
- Hybird
UI설계원칙 - 직관성
직관성은 설계구조를 누구나 쉽게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는 원칙이다. or 사용자가 한 눈에 기능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는 원칙이다.
- UI설계원칙
구분 | 설명 |
---|---|
직관성 | 누구나 쉽게 이해하고 사용 |
유효성 | 사용자의 목적을 정확하게 달성 |
학습성 | 누구나 쉽게 배우고 익힐 수 있어야 |
유연성 |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최대한 수용, 오류를 최소화 |
명세기반 - 블랙박스 테스트
소프트웨어 테스트 기법 중 프로그램의 외부 사용자 요구사항 명세를 보면서 테스트를 수행하며 주로 구현된 기능을 테스트 한다. 명세 기반 테스트라고도 하며, 동치분할 테스트, 경계값 테스트 등이 있다.
ALTER
컬럼 추가 DDL ALTER TABLE 테이블명 ADD ‘컬럼명’ 도메인; e.g. ALTER TABLE 학생 ADD ‘주소’ VARCHAR(20);
그룹함수
e.g. SELECT 과목이름, MIN(점수) AS 최소점수, MAX(점수) AS 최대점수 FROM 성적 GROUP BY 과목이름 HAVING AVG(점수) >= 90;
삭제하기
e.g. DELETE FROM 학생 WHERE 이름 = ‘민수’;
C++ 언어의 생성자의 정의
객체 생성 시 자동으로 호출되는 메소드로, 멤버를 초기화하는 목적으로 주로 사용된다.
- C++ 언어의 소멸자
C++ 언어의 소멸자는 객체가 소멸될 때 자동으로 호출되는 메소드다. 동적 메모리에 생성된 객체를 제거하기 위한 목적으로 주로 사용된다.
스키마의 정의
스키마는 데이터베이스의 전체적인 구조와 제약조건에 대한 명세를 기술 및 정의한 것을 말하며, 스킴(scheme)이라고도 한다.
관계대수 연산
릴레이션 A에서 릴레이션 B의 모든 조건을 만족하는 튜플을 제외한 후 프로젝션 하는 연산자는 : ÷ (디비전)
관계대수 (원하는 정보와 그 정보를 어떻게 유도하는 가를 기술하는 방법)
- 순수 관계 연산자
연산자 | 기호 | 의미 |
---|---|---|
Select | σ | 조건에 맞는 튜플을 구하는 수평적 연산 |
Project | π | 속성 리스트로 주어진 속성만 구하는 수직적 연산 |
Join | ▷◁ | 공통 속성을 기준으로 두 릴레이션을 합하여 새로운 릴레이션을 만드는 연산 |
Division | ÷ | 두 릴레이션 A, B에 대해 B릴레이션의 모든 조건을 만족하는 튜플들을 릴레이션 A에서 분리해 내어 프로젝션 하는 연산 |
- 일반 집합 연산자
연산자 | 기호 | 의미 |
---|---|---|
합집합 | ∪ | 두 릴레이션의 튜플의 합집합을 구하는 연산 |
교집합 | ∩ | 두 릴레이션의 튜플의 교집합을 구하는 연산 |
차집합 | - | 두 릴레이션의 튜플의 차집합을 구하는 연산 |
교차곱 | x | 두 릴레이션의 튜플들의 교차곱(순서쌍)을 구하는 연산 |
라우팅프로토콜 OSPF
대규모 네트워크를 안정되게 운영할 수 있는 표준 라우팅 프로토콜로 최적의 경로를 계산할 때 SPF(Shortest path First) 또는 다익스트라 알고리즙을 이용하여 각 목적지까지의 최적 경로를 계산하는 동적 라우팅 프로토콜로 링크 상태 라우팅 프로토콜이다.
TCP/IP ICMP
TCP/IP에서 신뢰성 없는 비 연결형 프로토콜인 IP를 대신하여 송신 측으로 네트워크의 IP 상태 및 에러 메시지를 전달해주는 프로토콜을 무엇이라고 하는지 영문 약어로 쓰시오.
헝가리안 표기법
프로그래밍의 변수명, 함수명 등의 식별자 이름을 작성할 때 데이터 타입의 정보를 이름 접두어로 지정하는 코딩의 규칙이다. e.g. inum, strName
리팩토링의 목적
리팩토링의 목적은 가독성을 높이고 유지보수의 편리성을 높이는 것이다. 리팩토링을 통해 소프트웨어를 쉽게 이해할 수 있고 버그를 빨리 찾을 수 있다. 겉으로 보이는 소프트웨어의 기능을 변경하지 않고 내부 구조만 변경하여 소프트웨어를 보다 이해하기 쉽고, 수정하기 쉽도록 만드는 것이다.
프로토콜(Protocol)
프로토콜의 본래 의미는 외교 분야에서의 의례 또는 의정서를 의미하는 용어였다. ‘기술적 은어’라는 뜻으로 프로토콜이라 불렀다.
Subscribe via R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