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처리기사 실기 2회 기출 리뷰

애자일 (agile)

작업 계획을 짧은 단위로 세워 시제품을 만들어 나가는 사이클을 반복하는 ‘고객의 요구 변화에 유연하고 신속하게 대응하는’ 개발 방법론이다. 이와 반대되는 전통적인 개발 방법론은 폭포수 방식이다.
애자일은 고객 중심, 코드 중심으로 개발한다. 프로젝트 진행 중에 일부 결과물인 시제품을 고객에게 지속적이며 반복적으로 제공한다. 이를 통해 고객의 요구사항이 제대로 반영되고 있는지를 수시로 점검한다.

데이터베이스 설계 순서

  1. 요구사항 분석
  2. 개념적 설계
  3. 논리적 설계
  4. 물리적 설계
  5. 구현

SOAP (Simple Object Access Protocol, 솝)

http, http, smtp 등을 사용하여 xml 기반의 메시지를 컴퓨터 네트워크 상에서 교환하는 형태의 프로토콜이다. Envelpoe, Header, Body 3요소로 구성된다. 웹 서비스의 기본적인 메시지 전송 수단이다.

형상관리 (SCM)

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에서 변경에 대비하기 위해 필요한 품질 보증을 위한 주요한 요소이다. 주 임무는 변경의 통제이다. 개발 과정에서 발생하는 산출물의 변경 사항을 관리하기 위한 일련의 활동을 말한다. 대표적인 도구로는 CVS, subversion, Clear Case 등이 있다.

관련하여

형상 통제 (변경관리, 형상제어)
형상 통제는 형상에 대한 변경 요청이 있는 경우 변경 여부와 변경 활동을 통제하는 것을 말한다.
소프트웨어 형상 변경 요청을 검토 및 승인하여 현재의 베이스라인에 반영할 수 있도록 통제한다.

Ajax

비 동기식 자바스크립트 xml을 의미한다. 클라이언트와 웹 서버 간에 xml 데이터를 내부적으로 통신하는 대화식 웹 애플리케이션의 제작을 위해 사용한다. 웹 페이지 전체를 새로고침 할 필요 없이, 즉 새로운 html 페이지로 이동할 필요 없이 필요한 부분만 로딩되도록 하는 웹 개발 기법 이다.

UI설계원칙 4가지

  1. 직관성 : 누구나 쉽게 이용하고 사용함
  2. 학습성 : 누구나 쉽게 배우고 익힘
  3. 유연성 :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최대한 수용하며 오류를 최소화함
  4. 유효성 : 사용자의 목적을 정확하게 달성함

정적분석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지 않고 테스트 하는 방법이다. 소스 코드에 대한 코딩 표준, 런 타임 오류, 코딩 스타일, 코드 복잡도 등의 결함을 발견하기 위함이다.

인덱스 만드는 방법

CREATE INDEX 인덱스이름 ON 테이블명(속성);
e.g. CREATE INDEX idx_name ON student(name);

SQL injection

SQL 인젝션은 공격자가 악의적으로 특정 sql 질의문을 전송하여 데이터베이스의 중요한 정보를 가져오는 공격 방법이다. 사용자 인증을 우회하는 조건이나, 운영체제 명령을 직접 호출할 수 있는 명령을 삽입하여 데이터베이스 관리자 권한을 획득하는 불법적인 공격을 말한다.

sql 제어(DCL)의 종류

COMMIT, ROLLBACK, GRANT, REVOKE

ROLLBACK

데이터베이스 내의 연산 수행 이전 상태로 되돌리기 위해 사용하는 명령어다. 트랜잭션을 취소하는 명령어로 메모리의 내용을 하드디스크에 저장하지 않고 버린다.

IPSec

네트워트 3계층인 IP계층에서 IP 패킷 단위로 암호화, 인증, 키관리를 통해 보안성을 제공하는 표준화 기술이다.

안드로이드

리눅스 커널을 기반으로 동작하며, 자바와 코틀린 언어로 개발된 핸드폰이나 소형기기에 사용되는 오픈소스 플랫폼인 모바일 운영체제다.

chmod 751 a.txt

  • chmod 명령어 : 유닉스 또는 리눅스에서 파일이나 디렉터리에 대한 엑세스(읽기, 쓰기, 실행) 권한을 설정하는 명령어
  • 형식 : chmod [옵션] [모드] 파일명
  • 권한
구분 기호모드 숫자모드-8진수
읽기 r 4
쓰기 w 2
실행 x 1
없음 - 0
  • 예 : 리눅스 서버의 a.txt 파일에 사용자에게는 읽기(4), 쓰기(2), 실행(1) 권한을 그룹에게는 읽기(4), 실행(1) 권한을 그룹 외 사용자에게는 실행(1) 권한을 주는 명령어는?
    chmod 751 a.txt
    (7=4+2+1, 5=4+1, 1)

RTO

Recovery Time Objective 목표 복구 시간

RPO

Recovery Point Objective 목표 복구 시점

GoF (Gang of Four)

GoF 25개 디자인 패턴은 사용 목적에 따라

  • 생성패턴
  • 구조패턴
  • 행위패턴
    으로 분류할 수 있다.

Observer, Observer Pattern

행위패턴에 해당하며 1:다 객체의 의존관계를 정의한 것이다. 한 객체가 상태를 변화시켰을 때 의존관계에 있는 다른 객체들에게 자동으로 통지 알림이 전달되고, 변경된다. 객체 간의 데이터 전달 방식은 푸쉬 방식과 풀 방식이 있으며, 기본적인 디자인의 원칙은 상호작용하는 객체 사이에서는 가능하면 결합도를 느슨하게 디자인하는 것이다.

Linked Open Data

주요 특징은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를 사용한다는 점이다. 웹 상에 존재하는 전 세계의 오픈된 정보를 하나로 묵는 Restful한 방식이며, 링크 기능이 강조된 시맨틱 웹의 모형에 속한다. 즉, 시멘틱 웹을 실현시키기 위한 방법이자 기술적 접근성이다. Linked + Open data의 합성어다.